미세먼지 및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오래동안 사용하다보니 안구건조증을
안구건조증이 생긴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눈은 외부자극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신체부위이기 때문에 쉽게 건조해지고 또 피로해집니다.
저또한 안구건조증으로 안과에 주기적으로 다니고 있는데요. 안약을 처방받아서 넣곤 하는데 완벽하게 치료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 마름증후군이라고도 불리고 건성안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고 하는데요. 눈이 건조해지고 피로하고 충혈이 생기는 증상이 있다면 안구건조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러는 눈이 시리거나 가렵게 느끼 수도 있습니다. 저의 경우 시리고 건조하고 충혈이 생기는 증상이 있습니다. 인공눈물을 주기적으로 넣어주기는 하지만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하다보니 낫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안구 건조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메가3같은 영양제 섭취도 중요하고 평소의 생활습관을 바꾸는것도 중요합니다. 평소의 생활습관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눈을 자주 깜빡이는것만으로도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눈 깜빡거리는 횟수가 줄어들면 눈물막이 쉽게 파괴되고 뻑뻑해집니다. 반대로 자주 깜빡이면 눈 주위의 근육이 이완이 되고 힘프액의 순환을 도와서 눈물막이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의식적으로 눈을 깜빡여서 눈물막이 다시 만들어지도록 해야합니다.
비타민A가 풍부하고 망막을 보호해주는 당근이나 눈을 촉촉하게 만들어주는 결명자, 안토시아닌이 푸부한 블루베리나 시금치, 혹은 오메가3가 함유되어 있는 고등어등의 생선등을 섭취해줍니다. 특히 오메가3는 눈물막을 튼튼하게 보호해줍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 고등어, 참치, 연어와 같은 생선을 섭취하면 좋습니다.
눈의 면역력을 위해서는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킬륨이 풍부한 음식으로 새우, 가재, 게와 같은 갑각류에 많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아보카도나 바나나등의 과일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숲과 같은 자연의 녹색을 바라보도록 합니다. 저의 경우 사무실 창문을 통해서 멀리 푸른 산을 볼 수 있습니다. 자주 일어나서 산을 보면서 눈의 피로를 풀도록 하여야겠습니다.
하루 2리터가량의 물을 마셔서 수분을 섭취해줍니다. 몸으 갈증도 눈의 갈증도 씻어낼 수 있도록 물 8컵을 매일 마셔야합니다.
전자기기의 사용을 줄입니다. 업무상 계속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50분 일한 뒤 10분 정도의 휴식시간을 가지도록 합니다. 스마트폰 액정 글씨 크기를 키워서 사용하고 너무 밝거나 어둡지 않게 액정 밝기르 ㄹ조절하며 블루스크린차단필터를 이용하는것도 좋습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의 스마트폰 사용은 자제해야 합니다
취침 전 눈가를 따뜻하게 찜질을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면 안구건조증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안구운동을 통해서 굳어진 눈을 풀어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노안 예방에도 도움을 줍니다. 충혈이나 염증등의 결막염 증상이라면 냉찜질이 좋다고 합니다.
실내조명은 형광등보다 LED조명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자외선과 적외선이 나오지 않는 만큼 눈의 피로감이 적습니다.
외출한 후는 방부제가 없는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해서 씻어내듯 눈 밖으로 흘러 내보내면 됩니다. 눈은 비비지 않아야 합니다.
눈이 뻑뻑하거나 건조한 느낌이 든다면, 시야가 순간적으로 흐릿하게 보이고 이물감이 느껴지거나 침침하다면 병원에 방문해서 상담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약물처방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경우가 많을테니 평소의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고쳐 안구건조증을 개선해가도록 해야겠습니다.
'세상의 모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비아 부작용보다 어려운 양조절, 직접 먹어본 후기 (0) | 2018.05.02 |
---|---|
피부암 흑색종, 손톱에 검은 세로줄이 생긴다면 (0) | 2018.05.02 |
장 건강에 좋은 음식, 식습관을 고쳐서 과민성대장증후군 이겨내자 (0) | 2018.05.01 |
모기가 물렸을 때 치약활용 꿀팁 (0) | 2018.04.27 |
공기정화에 좋은 식물, 키우는 방법 (0) | 2018.04.27 |